많은 여성분들이 콜라겐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을 뿐 아니라 실제로 콜라겐 관련 건강식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그중에 피시콜라겐, 저분자 콜라겐 등 종류가 있는데 오늘은 콜라겐의 효능과 저분자 피시 콜라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콜라겐 이란?
우리의 몸은 뼈와 장기를 보호하는 피부로 덮여있습니다.
피부 안에는 콜라겐이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나이가 들면 점점 주름이 생기고 피부 탄력이 떨어지는데 이는 콜라겐의 함량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콜라겐은 피부 외에도 머리카락, 관절 등에도 함유되어 있지요.
체내에 함유된 콜라겐은 20대 중반부터 매년 1퍼센트씩 줄어듭니다.
이 시점부터 노화가 시작되는 것입니다.
피부 노화를 억제하기 위해 우리는 콜라겐을 꾸준히 섭취해야 합니다.
콜라겐 효능
1. 노화 억제
앞서서 언급했듯이 우리는 나이를 먹으면 몸의 노화가 진행됩니다.
콜라겐 함량도 줄어드는 이유로 인해 콜라겐을 먹으면 얼굴의 노화를 방지하는 데에 효과적입니다.
2. 피부탄력
콜라겐을 먹으면 피부 탄력이 생길 수 있습니다.
콜라겐은 피부 속 가장 깊숙한 진피층을 이루는 성분이기 때문에 "탄력"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성분입니다.
3. 관절 건강
콜라겐은 관절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무릎의 관절 통증, 부종이나 관절염이 있는 분들은 콜라겐을 꾸준히 섭취하면 좋습니다.
4. 탈모예방
피부뿐 아니라 머리카락에도 콜라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콜라겐을 먹으면 머리카락 윤기 역시 날 수도 있고 탈모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콜라겐이 함유된 음식
콜라겐이 풍부한 식품에는 생선, 아보카도, 칠면조, 비타민 C, 초콜릿, 올리브, 당근, 콩, 녹색 잎채소, 계란, 토마토, 베리 종류, 대두콩이 포함됩니다.
피시콜라겐 이란?
피시 콜라겐이란 생선과 같은 어류에서 추출된 콜라겐을 의미합니다.
생선의 지느러미, 껍질 등에 풍부하게 함유된 콜라겐입니다.
어류에 함유돼 있는 피시콜라겐은 육류에 비해서 분자 크기가 작기 때문에 동물성 콜라겐에 비해 흡수가 훨씬 빠릅니다.
체내 구성돼 있는 콜라겐과 구조가 비슷하기 때문에 몸에 흡수되는 양이 40퍼센트라고 합니다.
저분자 콜라겐 이란?
저분자는 '작은' 분자를 의미합니다.
입자가 작을수록 우리 몸에 흡수될 수 있는 콜라겐 양과 흡수되는 속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저분자 콜라겐은 피부 진피를 구성하고 있는 성분인데, 피부 세포들을 떨어지지 않도록 연결하고 지탱하는 역할을 하며, 콜라겐이 감소하면 세포의 결속력이 떨어지고 노화가 진행됩니다. 특히 20대부터 체내의 콜라겐은 감소하기 시작하며 40대가 되면 20대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체내의 콜라겐이 줄어들면 고가의 화장품이나 에스테틱을 받아도 피부 겉면만 관리되는 것이기 때문에 주름이 생기고 탄력은 떨어지게 됩니다.
그러나 시판되고 있는 수많은 콜라겐 제품들 중에서 어떤 것을 골라야 하는지, 흡수율이 좋다고 하는 저분자 콜라겐을 확인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고, 화학성분이 잔뜩 들어갔거나 분자 크기가 너무 커서 효과가 없는 등 저품질 제품들이 수두룩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콜라겐 제품을 고를 때 어떻게 저분자 콜라겐을 확인하는지, 어떤 기준으로 좋은 제품을 확인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300Da 확인 필수
콜라겐의 분자 크기 단위를 Da(달톤)이라고 합니다. 저분자 콜라겐은 달톤의 수치를 통해 품질을 구별할 수 있는데, 달톤 크기가 낮으면 낮을수록 체내 흡수율은 올라갑니다. 시중 제품들 중에서는 달톤 수치가 저마다 다르며 차이가 굉장히 컸는데, 그중 가장 낮은 달톤 수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300Da이었습니다.
이처럼 달톤 크기는 저분자 콜라겐을 고를 때 가장 중요한 기준이기 때문에, 제품의 상세페이지 등을 체크하시고 가장 낮은 콜라겐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2. 화학 부형제, 합성첨가물
알약을 만들 때 생산성을 높이고 원가를 낮추기 위해 HPMC, 이산화규소,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등의 화학 부형제를 주로 사용합니다. 가루 원료를 뭉치거나 손에 묻지 않도록 코팅하는 역할을 하지만 화학 부형제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간 기능 저하, 복부 팽만, 요로결석 등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제외시켜야 합니다. 이산화규소는 일회용 김에 들어가는 ‘먹지 마시오’ 문구의 방습제와 같은 성분이며 미국독극물연구소, 국제암연구소에서는 발암성을 입증했습니다.
또한 관련 논문을 살펴보면 실험 쥐 40마리에게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투여한 결과 무려 15마리에게서 요로결석이 발생했습니다.
또한 합성첨가물의 경우 인위적으로 맛과 향, 색을 좋게 만들기 위해 수많은 가공식품에 사용하는데 대표적으로 합성감미료, 착색료, 착향료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것들 역시 안전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함량 표를 잘 살펴보시고 해당 성분이 있다면 피하셔야 합니다.
3. 콜라겐 함량
달톤(Da) 수치가 낮아 흡수율이 높고, 화학성분도 모두 배제했더라도 저분자 콜라겐의 함량이 낮으면 먹으나 마나 하기 때문에 콜라겐이 얼마나 들어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시중에는 콜라겐 함량이 5% 미만에 불과하면서 부형제와 첨가물만 잔뜩 들어가 있거나 함량을 표기하지 않은 제품, 1일 기준이 아니라 1박스(30일)의 콜라겐 함량을 표기해서 헷갈리게 하는 것까지 있습니다. 따라서 고함량의 저분자 콜라겐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1일 기준 함량을 확인하고, 식약처의 1일 권장 섭취량 이상인 제품을 골라야 합니다.
4. 히알루론산, 엘라스틴, 비타민C 함유
피부 진피층, 즉 피부 깊숙한 곳은 콜라겐, 히알루론산, 엘라스틴 등의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성분들은 피부에 필수적인데, 하나라도 부족하다면 피부 균형이 무너질 수밖에 없습니다.
콜라겐은 피부 세포들을 단단하게 연결하고 지탱하는 역할을 합니다.
엘라스틴은 콜라겐의 연결을 지지하여 느슨해지지 않도록 합니다.
히알루론산은 피부 속 빈 공간에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세 성분이 상호작용을 통해 피부가 건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제품 안에 세 성분이 모두 포함되어 있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비타민C는 콜라겐 합성과 흡수에 꼭 필요하기 때문에 비타민C까지 들어있다면 훨씬 큰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건강기능식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P 의미, 하루 섭취량, 그리고 효능 (1) | 2022.07.31 |
---|---|
MSM 식이유황 효능 부작용 복용량 (1) | 2022.07.30 |
뉴질랜드 초록입홍합 효능 (1) | 2022.07.29 |
마그네슘의 효능과 종류 및 부족하면 생기는 문제 (1) | 2022.07.29 |
맥주 효모 정의, 효능, 적용대상, 주의사항 (1) | 2022.07.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