琵琶行[비파행]
白樂天[백낙천] 作[작]
潯陽江[심양강] 서늘한 밤 벗을 보낼 제 갈대꽃 단풍잎에 가을이 운다
강가에 말 세우고 나도 배에 올라
술 한잔 나누려나 슬프다 管絃聲[관현성] 하나 없나니 취한들 무엇 기쁘리! 그만 섭섭 갈릴 터인데 망망한 강물, 물 속에 말없이 잠긴 달이여!
난데없이 물 위로 떠오는 琵琶[비파] 한 소리에 벗은 떠나지 않고 나도 돌아옴을 잊었네 소리 들리는 곳 드너머 가만히 묻노니 타는 이 그 누구뇨?
비파 소리 뚱 끊치고 말할 듯 말할 듯 더디도다.
가까이 배를 옮아 서로 맞아서
등 밝히고 술 더하여 다시 마실 제 천 번 청하고 만 번 불러 처음 나오매 가슴에 비파 안은 채 반튼 가리운 얼골!
축을 굴리고 줄을 골라 띵띵 두세 소리에 曲調[곡조]를 이루기 전 먼저 情[정]이 앞서…… 蛾眉[아미]를 낮게 하고 능숙한 손으로 저 줄 이 줄 고루 눌려 소리마다 생각이라 평생의 마음속 끝없는 恨[한]을
낱낱이 호소하는 듯 오오 외로운 女人[여인]이여!
느리락 가벼락 또 높으락
처음은 霓裳曲[예상곡], 다음을 六玄曲[육현곡]을 아뢰나니 큰 줄은 띵띵 급한 비 퍼붓는 듯
작은 줄은 뎅뎅 가만히 속삭이듯
띵띵 뎅뎅 띵띵 번복 수없으매
큰 구슬 작은 구슬 도로롱 玉盤[옥반]에 떨어지다 꾀꼬리 즐거워 꽃 그늘에 노래 부르고 산골 물 구비구비 여울로 나리는 목메인 울음 잠간 琵琶[비파]줄 凝絶[응절], 소리 끊칠 제 별다른 暗然[암연], 별다른 恨[한]을 남모르게 소리 없이 呼訴[호소]하는 듯 뼈가 저리다 銀甁[은병]이 깨어지며 水漿[수장]이 솟는 듯 鐵騎[철기] 뛰어나오며 칼과 창이 우는 듯 곡조 끊치자 채를 빼어 비파 한복판 그리니 네 줄 한꺼번에 명주를 째는 소리!
동쪽 서쪽에 머문 배 悄然[초연]히 말없고 적막한 가을 밤 물 속에 달빛만 힐 뿐 한참 한숨 끝, 채는 줄 사이에 꽂고 얼굴과 옷 가다듬으며 말하기를
저 본시 京城生[경성생]으로 집은 蝦蟆陵[하마릉] 아랫마을 열 세 살 적 비파 배워 가련한 몸이 敎坊第一部[교방제일부]에 이름 높아서 한 곡조 퉁 치면 善才[선재]도 무릎 치고 말쑥한 새 단장에 秋娘[추낭]도 願色[원색] 없었나니 五陵[오릉]의 젊은 男兒[남아] 다투어 놀림채 줄 제 一曲[일곡] 直千金[직천금], 붉은 비단 어이 세었사오리까?
은비녀 대신 장단에 마디마디 부서지고 핏빛 비단치마 몇 번이나 술에 젖었던고 한 해 두 해 해마다 기쁜 웃음 속에 가을 달 봄 바람을 등한히 보냈더니 불행이 아우는 邊役[변역]에 姨母[이모]도 죽고 얼굴조차 아침 저녁 틀려 가매
쓸쓸한 문앞 뉘 다시 찾아오리까?
철 지난 꽃 늙은 몸이 상인에게 시집 오니 利[이]만 알고 이별 가벼이 하는 남편 먼젓 달 茶[차] 사러 浮梁[부량]에 가고 저 홀로 江口[강구]에 오가락 빈 배를 지키노니 강물은 차고 달빛 또 凄凉[처량]한데 밤 깊이 소스라쳐 지난 일 생각하면 붉은 눈물 방울방울 옷깃 적십네다.
내 비파 소리 듣고 이미 한숨짓거든 또 이 말 들으매 더욱 悲愴[비창]해라 그대나 내나 다함께 天涯[천애]에 倫落[윤락]한 몸 처음 만난들 무엇 서슴하랴!
지난해 나도 帝京[제경]에서 謫放[적방]된 몸이 병들어 심양성에 홀로 누웠노니
潯陽[심양]은 深僻[심벽]한 곳 해가 盡[진]ㅎ도록 음악다운 음악을 어디서 들으랴
湓江[분강]이 가까와 땅도 매우 低濕[저습]하매 푸른 대 누른 갈대 집을 둘려 있고 아침 저녁 여기 들리는 것은
잔나비 슬픈 울음, 杜鵑[두견]새의 피눈물뿐
[상기 저작물은 저작권의 소멸 등을 이유로 저작권 보호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다.]
'책읽기 >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정환 동생을 찾아서 [하] (0) | 2022.08.01 |
---|---|
김남천 유진오 단편집 (0) | 2022.08.01 |
김동인 벗기운 대금업자 (0) | 2022.08.01 |
김정식 무신 (0) | 2022.08.01 |
방정환 선물 아닌 선물 (0) | 2022.08.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