閨 怨[규원]
는 졍히 五月[오월] 中旬[중순]이라 비 온 뒤은 아직도 지 못하야 검은 구룸발이 삼각산(三角山) 봉오리를 뒤덥허 돌고 긔운차게 셔々[셔] 흔 들기조와하든 「폽풀」라도 입새하나 움작이지 안코 조용히 셔 잇슬만치 그 러케 바람 한졈도 날니지 안는다. 참새들은 를 지어 갈팡질팡 이리가랴 져리가랴 하며 왜갈이난비 재촉하난 우름을 쳐가며 집융을 건너 넘어간 다.
이 에 어느 집 삼간대쳥에난 어린 아해 보러 온 六[육] 七人[칠인]의 부 인내들이 혹은 안저 부채질도 하며 혹은 더운 피곤(疲困)에 못 익이여 옷고 름을 잠간 풀어 졔치고 화문셕 우에 목침을 의지하야 가벼읍게 눈을 감고 잇난이도 이스며 혹은 무心[심]히 안저서 쳐음 온 집이라 압뒤을 보살펴 보 기도 하며 혹은 살림에 대한 이야기도 하며 혹은 그거슬 듯고 안졋기도 한 다. 마루에난 어린애에 기져귀가 두어개 느러놔 잇고 물 주젼자가 노여 잇 스며 물기가 조곰식 나마 잇난 공긔가 三[삼] 四[사]개널녀 잇다 거긔 에난 앵도씨가 여긔져긔 러저 잇고 큰 유리화대졉에 반도 채 못 담겨 잇 난 앵도는 물에 저저 반투명테(半透明体)로 연々[연]하게 곱고 붉은 빗치 광선(光線)애 반사(反射)되여 기름 윤이 흘느게 번젹々々[번젹]한다.
에 여러저치인 뒷문으로 어린애 우난 소래가 사랑으로붓터 멀니 들니자 산후(産後)에 열기(熱氣)로 인하야 신음하다가 이러 안진 애기 어머니난 어 푸수々[수]한 머리를 아모러케나 지여 흑각으로 고 긔운업시 뒤문턱에 기대여 안졋다가 작 놀나 이러서며 사랑으로 나가 애기를 곳초 안고 드러 온다. 애기에 두 눈에는 약간 눈물이 흘너잇고 모긔에 물닌 자옥으로 두어 군대 붉은 졈이 겨 잇다. 어머니 팔에 앵기여 오난 깃붐인지 럿々々[ 럿]한 눈울을 굴니어 군즁을 둘너보다가 아난듯 모로난듯 씽긋 웃난다.
군즁의 시선(視線)은 모다 이 애기에게 집즁(集中)하여 잇든 中[중] 모다 「아이고 웃난고나」하고 다시 우슬가 하야 얼느기도 하며 머리을 씨다듬어 보기도 하고 손을 만지어 보기도 한다. 애기난 모로난쳬 하고 몸을 돌이어 어머니 가삼에 입을 돌니어 졋을 찻난다.
뎌편 구셕에 담배 물고 실음업시 하날을 쳐다보고 안진 부인은 엇더케 보 면 거진 四十[사십] 되여 보이고 엇더케 보면 겨오 三十[삼십]이 넘어 보 인다. 어듸인지 모로게 귀인셩이 잇서보임직한 얼골에난 얼만한 고생의 흔 젹인지 주룸살이 이리저리 잡혀진다. 거긔다가 분을 좀 싯친 모양이라 해빗 헤 어 우죽죽한 얼골 빗헤 것돌며 넉사자 이마젼에 압머리을 좌우평행 (左右平行)으로 밀기림에 재여 붓치고 느짓々々[느짓]아 느짐하게 길죽이 을 어 은비녀로 너 노은 거시며 모시젹삼 화장은 길죽하야 손등을 덥고 셜핏한 모시치마에 허리을 넓게 달아 느직하게 외로 염여 입은 거슨 아모리 보아도 서울 부인늬가 아닐 외라 어대인지 모르게 고상하게 보이 는 거슨 례졀(禮節)잇난 양반에 집에서 자라난 거시 분명(分明)하다. 그러 케 여러 夫人[부인]내들은 애기들 압흐로 와서 얼느고 만저 보나 다만 홀노 이 夫人[부인]만은 아모 말없시 멀니 건너다 보다가 흥 하고 이상한 코우숨 을 한번 웃고 눈을 내리며 반도 타지 안은 담배을 엽헤 잇난 재터리에 놋 코 허리을 굽혀 마루 아래 대에다 탁々[탁] 틀며 이상하게 슯흔 氣色[기 색]을 운다. 이 夫人[부인]은 다시 젼과 갓치 안더니 애기가 졋 먹난 양 을 바라보며 「흐흥 그거 보시오. 이러케 만히들 안젓난 中[중]에 애기우난 소래을 그 어머니밧게 드른 사람이 업소그려. 그러케 ‘자식’과 어머니 사 이에난 으랴도 을 수 업난 애졍(愛情)이 엉키여 잇것마는 나갓흔 거 슨……」 하고 목이 메여 말 을 암을으지 못 하고 두 눈에 눈물이 핑 돈 다. 군중은 모다 이상히 역여 왜 그리 스러운 기색(氣色)을 우느냐고 무 를 수 밧게 업섯다. 그난 아모 대답업시 잠々[잠]히 잇고 그와 동행(同行) 하여 온 그의 친구 김부인(親舊 金夫人)이 엽혀 안졋다가 그을 처다보며 「 쳥승이 러나오난군. 아들 둘의 생각을 하고 그러지요」한다. 군즁의 의심은 더욱 깁허간다.
「아들 둘을 엇더케 하엿기에요」하고 다시 무를 수 밧게 업섯다. 이 夫人 [부인]은 역시(亦是) 아모 말 업시 안졋고 金夫人[김부인]이 이 夫人[부 인]을 처다보며 「그 래력(來歷)을 말하랴면 숙향젼에 고담이지요」한다.
군즁에게난 더욱 호기심(好奇心)을 갓게 되고 궁금증을 이르킨다. 「엇재셔 그래요? 좀 이야기 하시구려」하난 거시 군즁의 쳥구(請求)이엿다. 金夫人 [김부인]은 그를 처다보며 「이야기하구려」 권한다. 그 夫人[부인]은 역시 잠々[잠]이 안졋더니 「이것보십쇼」하고 두 손을 내밀며 「세상에 사 주팔자란 알 수 업습데다. 분길갓든 내 손이 이러케 매듸마다 못 박혀 볼 줄 뉘 알앗스며 오륙월 염천지 무명 고쟁이로 날줄 뉘 알앗스리가 (치마 를 거듸치고 가라치난 무명 고쟁이난 오동 빗치라) 나도 남부럽지 안케 호 의심식(好衣好食)으로 자라나셔 시집가서도 마루 아래을 내러서 본 일이 업 섯더랍니다. 이래 보여도 나도 상당한 집 양반의 이랍니다. 내 래력(來 歷)을 말하자면 기가 막혀 죽을 일이지요」 이러케 차々[차](次々[次]) 그 의 래력을 말하기 시작되엿다.
내 아버지셔는 평양(平壤) 감사지 지내시고 봉산(鳳山)골도 사시고 안 셩(安城)골도 사셧지요. 우리 백부(伯父)님은 리판서(李判書) 집이시지요.
그리하야 우리 고향(故鄕)인 쳘원(鐵原)골에서는 우리 친졍(親庭)집 일파 (一派)의 세력(勢力)이 무셥지요. 그러한 집에서 아들 四兄弟[사형제]틈에 고명노 귀(貴)엽게도 자랏지요. 지금(只今)은 가진 고생을 다 격거셔 이 러케 얼골이 썩고 썩엇지요마는 내가 열두셔넛살 먹엇슬 는 색시 도 백 히고 빗갈이 희고 얼골도 매우 고왓셧스며 머리는 새가만니 전반갓햇지요.
그리하야 열살먹든 해붓허 시골 셔울 할 것업시 재상에 집에서들 쳥혼(請 婚)들을 하댓답니다. 우리 아바지셔 그런 말삼을 하시면 어머니난 자식 하나 잇난 거시 그러케 원수시러우냐고 하시지요. 그러면 아바지서는 아 모 말삼 못하십데다. 그러나 자식이란 쓸대업서요. 열여섯살 먹든 해 三 月[삼월]에 긔어히 남의 집으로 가게 되옵데다」 「신랑은 멧살이구요」하고 한 夫人[부인]은 뭇난다. 신랑은 열세살이엿댓 지요. 우리 시父母[부모]되시는 김판사(金判書)하고 우리 아바지와난 졀친 한 사이섯지요. 아마 두 분이 술잔을 난호시다가 우리 혼인이 졍해진 모양 입데다 그러케 어머니 러지기 실혀서 울면셔 八十里[팔십리]나 되는 곳으 로 시집을 갓지요. 우리 집에서도 업난 것업시 처해 가지고 갓거니와 그집 에도 단 형뎨(兄弟)으로 필혼(畢婚)이라 가진 예물이며 채단이야 직々々[직]하엿섯지요. 시부모님에게 귀염인들 나가치 밧아스릿가. 말이 시집이지 世上[세상]에 나가치 어려온 것 모르고 괴로은 것 모로게 시집살 이을 하엿스릿가. 혼인(婚姻)한지 삼년(三年)이 되도록 태기(胎氣)가 업 셔々[셔] 퍽도 격졍들을 하시고 기다리시더니 팔년(八年)되든 해 우연히 태 기(胎氣)가 잇셔 가지고 아달을 나하 노흐니 그 어룬들셔 조와하시난 거 시야 엇더타 말할 수 업섯셔요. 은(銀)소반 밧들듯 하십데다. 바로 그 해에 우리 밧겻 양반이 춘쳔 군쳥(春川 郡廳)에 군쥬사(郡主事)을 하여가지요.
그리하야 나도 가치가셔 거긔서 삼년(三年) 동안이나 살림을 하엿섯지요.
그럴 동안에 첫애가 셰살이 먹자 아오가 잇서々[서] 나으니 아들이지 요. 밤이면 녜 식구가 옹긔종긔 안자서 재롱을 보고하면 타곳에서 외롭게 지내난 中[중]에도 자미잇게 지냇지요. 그러나 내 복조가 그만이엿든지 집 안 운수가 불길(不吉)하랴 함인지 둘재 아해 낫튼 그 해 동지달에 일본(日 本) 셜이라고 하야 연회에 가시더니 밤이 느저서 드러오시난대 술이 퍽 취 한 듯 십습데다. 펴노은 자리 우에 옷도 벗지 안코 탁 드러누어 머리을 몹 시 압흐다고 々[] 알터니 별안간에 와르々[르] 게우는대 벌건 선지피가 두어번 칵々[칵] 엉키여 나옵데다그려 나는 간담이 셔늘하여 지옵데다 여긔지 듯고 안졋든 여러 夫人[부인]내의 가삼은 조려지난 모양(模樣)이 라 「그래셔요」하며 이야기 계속(繼續)하기을 원(願)하는 이도 잇스며 혹 은 「저런 엇졀가」하고 참아 드를 수 업겟다는 것처럼 흐린다. 혹은 「아이고 해라」한다 리부인(李夫人)은 목이 메여 침 한 번을 덕 삼키 고 잠간 말을 멈추엇다가 다시 한다. 그 두러누으신 후로 그 잇흔날븟허 사진이 무어십닛가 하로에 미움 한 번이나 자시는 둥 마는 둥하고 담이 졈々[졈] 셩하여저서 별건 피담을 한요강식 뱃지요 그러케 것잡을 새 업시 나々[나]리 병(病)이 즁(重)하여 가옵데다그려 그래셔 큰 댁에 편지을 한다 뎐보(電報)을 한다 하엿드니 우리 맛시아주버니서 다 모다 데리고 가실랴 고 곳 오셔습데다. 그리하야 우둥부둥 짐을 싸 가지고 불시로 모다 나왓 지요. 그러한 일이 어대 잇섯스릿가. 큰 댁에을 드러스니 공연히 무슨 죄(罪)나 지은 것가치 어룬 뵈일 낫이 업습데다. 아니나갈가 二[이]시어머 님 되는 마냄서는 날더러 엇더케 하다 저러케 병(病)을 냇느냐고 원망을 하시며 두 내외분(內外分)은 식음(食飮)을 젼폐하시고 두러누어 게시니 집 안이 그런 난가가 어대 잇스릿가. 인삼이며 사심이며 가진 조타난 약(藥) 은 다 사듸리고 용하다는 용한 의원은 멀고 갓갑고 간에 데려다가 사랑에 두고 날마다 맥(脈)을 보고 약을 쓰나 만약(萬藥)이 무호(無效)이라 돈도 만히 드럿거니와 사람의 간장인들 그 얼마나 조렷섯스리가. 필경은 그 이듬 해 八月[팔월] 스무하로날 가셔 그 몸을 맛추앗지요 하며 젹삼 을 집어 두 눈을 씻는다. 군중은 모다 「저럴 엇졀가」하고 혀들을 툭々[툭]찬다.
李夫人[이부인]은 한 풀이 죽어셔 겨오 말슬 잇는다.
그러니 스물 다섯살인 갓흔 나이에 세상 쟈미(滋味)를 다 버리고 죽은 이도 불상하거니와 녀편내가 三十[삼십]도 못 되여 혼자 되니 그 신셰야 말 할 것 무엇잇게소. 오작 방졍마저 뵈엿스릿가. 왜 그런지 모든 사람이 이 몸을 모다 박복한 년으로 보난 듯 십허셔 엇지 붓그러온지 혼자 된 후로 난 사람을 치워다 보지를 못하고 지내왓지요. 친뎡(親庭) 오라버니가 보러 오 섯난대 하야케 소복(素服)을 하고 보기가 엇지 붓그럽든지 모닥불을 퍼붓난 것 갓하야 즉시 얼골을 들지 못하엿더랍니다.
한 夫人[부인]이 말하되 「참 녯날 어룬이시오. 아 그러타 이야요. 생젼 죄인(罪人)이지요. 어듸 가셔 고개를 들어 보고 말소리를 크게 내여 보며 목소리를 놉혀 우셔 보아요. 그러기에 몸을 맛초운다 하고 과부가 되면 하 눌이 문허졋다고 하는 가바요. 참 ― 기가 막히지요. 그러나 요새이 과부들 은 어대 그럽댓가. 벌건 자주댕기를 아니 듸리나 분들을 못 바르나 그러니 世上[세상]이 망하지 아켓소」 하며 누엇다가 벌 이러 안지며 담배 재 터 너라고 허리를 굽히난대 보니 그의 머리에난 조젹 당기가 듸려 잇난거시 이 夫人[부인]도 과부 중에 한 사람인 듯 십고 말하난 거시 경험(經驗)한 말 갓다.
李夫人[이부인]은 다시 말을 니어 지금 생각(只今 生覺)하여 보면 그 - 못 나서 그랫서요. 그야말노 불행즁 다행(不幸中多幸)으로 아들형뎨를 두고 가 서 할머니 하라버지서도 그것들노 위로를 만히 밧으시고 나도 그것들에게 의지(依支)하게 되엿지요. 우리 시아바님서는 우리 셰 식구를 엇더케 불 상이 역이시난지 살림에나 자미를 붓처살나 하시고 둘졔 아드님 목으로 지 어 두섯든 삼백셕 추수(三百石 秋收) 밧는 논과 밧을 내 일흠으로 증명(證 明)을 내여 주시고 큰댁 바로 압집을 사서々[서] 분통갓치 여서 상쳥하고 우리 셰식구를 세간을 그 동지달에 내여 주시며 조셕으로 드나드시면서 보 아 주십데다. 살림도 내외가 가저서 해야 이것도 사고 십고 저것도 사고 십 고 하야 자미가 나지요. 마지 못하야 살림에 당한 거슬 하나 사면? 어대를 가고 나 혼자 이러케 살냐고 애를 쓰나 하난 마음이 생기고 것잡을 새 업시 셜음이 복밧쳐 눈물이 압흘 가리우지요.
우리 친졍에서는 내가 불상하다고 쳘々[쳘]이 나는 실과(實果)를 아니 사 보내 주시나 아해들 옷을 아니 해 보내 주시나 남편업시 시아버님 돈을 타서 쓰니 오작 군슥하랴 하고 일용(日用)에 보태여 쓰라고 돈을 다 보내 주시고 하지요. 아 ― 참 세월(歲月)도 나요. 살아서 잇는 것 갓치 죠셕 상식(朝夕喪食)을 밧들기에 큰 위로를 밧고 밤에라도 나와서 마루에 잇는 소장을 보면 집을 직혀주는듯 십허서 든々[든]하더니 그남아 삼년상(三年 喪)을 맛치고 나니 더구나 새삼스럽게 서루은 마음이 생기고 허수하며 셥々 [셥]하기가 말할 길 업습데다. 라셔 죽지 못한 거시 한이지요. 죽지 못하 야 사라가는 동안에 한해가 가고 두해가 가셔 샤년(四年)이 되엿지요. 그 해 八月[팔월]에 마루에셔 혼자 큰 아해 녀셕 추셕비움을 하고 안졋스랴니 젼붓허 우리 큰댁에 드나들면서 바누질도 하고 하든 졈동할머니가 손자 를 등에 업고 드러옵데다. 그는 젼에 업시 내가 혼자 사는 것이 불상하다난 둥 오작 셜읍겟나냐난둥 하며 무슨 말인지 셔울 어느 졈잔은 사람이 상처 (喪妻)를 하고 젊은 과부를 하나 엇을랴고 하난대 그 사람은 문별(門閥)도 관게(關係)치 안코 재산(財産)도 상당하며 엇저고々々々[엇저고] 느러 노읍 데다. 나는 아마 그냥 그런 이야기를 하나 보다 하고 무심히 드럿슬 이엿 지요. 그런 뒤 얼마 잇다가 어느 날 할멈이오더니 그런 말을 하면셔 감히 무어시라고난 못하고 내 눈치를 보난 것이 매오 이상스럽겟지요? 엇지 괘심시러운지 나 역시(亦是) 모르는 쳬 하엿슬 이지요. 아 ― 이것 좀 보 시오. 몃칠 뒤에 와서는 불고염치하고 날더러 마암이 업나냐고 아니합데 가. 나는 뉘 압헤셔 것위 말을 하나냐고 악을 쓴이 문이가 지게 다 라납데다 그런 뒤로난 나는 엇지 분하든지 밤이면 잠이 다 아니 오겟지요.
그러고 모든 사람이 다 나를 업수이 역이난 것 갓하야 엇지 셔루은지 과부 되엿슬 보다 더 해요. 그런대 이거 보세요. 망신살이 칠냐니 어럽지 가 안켓지요 도모지 날자지 잇치지가 안습니다만은 그 해 九月[구월] 열 잇흔날이엿셔요. 저녁밥을 다 해 치고 안방에서 션々[션]해서 방문을 닷고 어린애 졋슬 먹이너라고 고 두러누엇스랴니 별안간에 마당에서 우리 큰 애 일흠 순영아 々々々[순영아]두어 번 불느는 남자(男子)의 소리가 나겟지 요. 나는 시부셔 나오섯나 하고 졋슬 우고 이러시랴는대 다시 불느는 소리를 드르니 우리 시부님의 목소래는 캥々[캥]하신대 그러치가 안코 우렁 찬 소리겟지요 나는 이상스러운 마음이 생겨서 잠간 문틈으로 내여다 보앗 지요 어스름밤이라 자셰난 볼 수 업스나 키가 훨신 큰 사람이 뒷짐을 지고 그 손에는 단장을 휘젹々々[휘젹]흔들며 안을 향(向)하야 섯는거시 잠간 보 아도 우리 집내 사람은 안이옵데다. 나는 불연듯 무셔운 생각이 생겨셔 나 오지 안는 목소래로 벌々[벌] 며 「그 누구신가 엿주어 보아라」 하엿지 요 그 자는 내 목소리를 듯자 반가운듯시마로 흐로 갓가이 오며 쳔연스럽 게 「녜 ― 서울서 왓습니다」해요 나는 다시 이는 소래로 「서울서 오시 다니 누구신가 엿주어 보아라」한즉 그자는 벗젹마루로 올나스며 「왜 졈동 할머니의게 드르섯지요 서울 사는 장쥬사라고요……」 하며 바로 익숙한 사 람에게 대하야 말하듯이 반우숨을 우며 말하겟지요. 나는 무섭고도 분하 여서 「나는 그런 사람 몰나요 그런대 대관절 남의 집 대쳥에를 아모 말 업 시 드러오니 이런 법(法)이 어대 잇소」하며 주고밧고 할 에 맛침 대문 소리가 나자 우리 시어머니되는 마냄이 두러오시는구려 군즁은 모다 「아이고 저럴 엇졀가」 「엿저면 고」하며 마음을 조려 한다
그러니 그물에 걸키운 고기지요. 넘치고 수 잇나요.그러니 장쥬사라 는 작자가 밧그로 여나가야 올켓습니가 안으로 여드러와야 올켓습닛가 엇졀 줄을 몰나 그랫든지 방으로 여드러 오는구려 나는 속졀없시 루명을 씨게 되엿지요 시모님서는 그 자의 태도가 수상스운 것을 보시고 곳 눈치 를 채신 모양이라 방으로 차 드러 오시더니 눈을 바로 치우다 보시 며 「웬 사람이냐고」하시더니 다시 나의 태도(態度)를 유심히 보시는구려 그러니 그 자리에서 무어라고 말하겟소 하도 기가 막키는 일이라 아모 말도 아니 나와서 잠々[잠]이 서 잇슬 이엿지요 원래 괄々[괄]하신 어룬이다 곳 내게로 달겨드시더니 내 머리채를 휘여잡고 이 저 치시며 「이년 남 의 집을 착실이도 망(亡)해 준다. 생갓흔 서방 쥐기고 무엇이 부죡하야 밤낫 뭇놈하고 부동을 하며 서방질을 하니 이년 그런 뭇서방놈들이 압뒤로 널녓스니 네 서방을 약을 먹여 병(病) 내 노아구나 에 ― 갈아 먹어도 시 원치 안을 년 내 집에 일시(一時)라도 머물지 말고 저놈 아 나가버려라 어셔々々[어셔]하는 벼락갓흔 재촉히 겁허 나는대 어느 뉘라셔 거역할 수 잇던가요. 시골이라 압뒤집에셔 큰 소래가 나니 남녀로소 물론(老少 勿論) 하고 마당이 미여지도록 구경군이 밀려드러 오는구려 오장을 보션목이라 뒤 집어 뵈는 수도 업고 그 자리에셔 내가 어굴하다하면 누가 고지를 듯겟소 남영 홍씨(洪氏)내 라니 순식간에 모여 들더니 그년 어셔 차내 보내라 는 말이 빗발치듯 합데다 그러케 원통할 길이 어대 잇섯스리가 다만 하 날을 우러々[러]보며 하나님 맙시사 할 이엿지요 내가 어렷슬 붓허 우 리 부모(父母)님에게 큰 소리 한 마대 드러보지 못하고 자라낫는대 머리가 한 웅쿰이나 지고 왼몸이 셩한 곳이 업시 멍이 퍼러캐 들도록 엇어 마졋 지요. 이것 좀 보시오 (윗입셜을 올니처 간々[간]이 금(金)을 느어 번 젹々々[번젹]하는 압니를 보이면서)이것도 그에 엇지 몹시 엇더 마젓든지 그붓허 이몸이 부어서 순색으로 쑤시시더니 여섯달만에 몽탕 지겟지요.
그래서 이러케 압니를 모조리(압니 여섯을 가라치며) 해박아습니다. 그래서 그날 그시로 당장(當場)에 내겻지요. 아해 둘은 물론(勿論) 기고요. 겨나와 갌데 가 잇나요. 첫재 남이 붓그러워서 조고만 바닥이라 즉시(卽時) 로 왼 셩내(城內)에서 다 알게 되엿지요 할 수 업시 우리 친졍편(親庭便)으 로 멀니 일가 되는 집을 차저가서 그집 행낭구셕 어릅갓흔 구들 우에서 그 밤을 안자 새윗엿지요. 손발이 차다 못하야 나종에는 저려오고 두젓이 々[] 부러 압하 견댈 수가 잇서야지요. 사람이 악에 바치니 눈물도 아니 나오고 인사도 차릴 수 업습데다. 아모려면 엇더랴하고 발길을 기다려 사람을 보내서 어린 아해를 훔처 오다 십히 햇지요. 그 잇흔날 느진 죠반 (朝飯) 즘 되어서 보교 하나이 드러 오더니 그 뒤에는 어느 하이 칼나 하 나이 라드러오는대 잠간 보니 어졔 저녁에 내 집에서 방으로 여 드러오 든 사람 비슷합데다. 나는 그 자를 보자 곳 사시나무 니듯 녀지며 분한 생각을 하면 곳 내려 가셔 멱살을 쥐고 마음 한판 해 내엿스면 좃켓습데 다 바로 호긔시럽게 어느 실네마님이나 뫼시러 온 듯시 날더러 타라고 하겟 지요. 어느 씰개 진 년이 거기 타겟삽닛가 그러자니 자연 말이 순々[순] 이 나가겟습닛가. 남의게 루명을 씨운 놈이라난 둥 내 게집된 이상에 무슨 말이냐란 둥 졈々[졈] 분통만 터지고 만 드러나지요 보니 발셔 압뒤가 々[]하게 구경군이 드러섯구려. 그리니 엇더케 합니 그곳을 나난 거시 일시(一時)가 밧부게 되엿지요. 큰댁 하인(下人)놈들이 웅긔중긔 셔々 [셔] 구경하난 양을 보니 고만 엇더케 븟그러온지 아모 소래가 아니 나오 고 부지불각중(不知不覺中)에 아해를 고 보교 속으로 피신을 하여 버렷지 요. 얼마를 한업시 가서 어느 산(山)골 촌(村) 구석 다 씨러저가는 초가 압 헤다 보교를 놋터니 날더러 나리라고 합듸다. 그러고 원수의 그자(者)난 졍 다(情多)이 나를 듸려다 보며 시장하지 안으냐고 뭇겟지요 참 인들 그런 이 어듸 잇스릿가? 분한대로 하면 을 치고 십헛섯스나 참아 남의 남자 (男子)에게 손이 올라가야지요. 그러고 다른 곳에 가셔지도 을 들키고 십지 아니하야셔…… 거긔셔 이럭져럭 근 十餘日[십여일]이나 지냇지요」 이졔것 열심(熱心)으로 듯고 안졋든 애어머니난 빙그레 우수면셔 「그러면 혼인(婚姻)은 언졔 햇셔요. 거긔셔 햇나요」하고 문난 말에 李夫人[이부인] 은 엄을々々[엄을]하며 잠간 두 이 불그려해진다.
그러면 엿더케해요. 암을하면 그 게집 아니라나요. 그러기에 只今[지금]이 라도 그 내 살을 그 놈에게 허락한 거슬 생각만 하면 치가 니고 분하지 요. 내가 지금(只今)만 갓햇셔도 무관하지요. 그만 해도 안방 구셕만 알 다가 졸디(卒地)에 겨나셔 물셜고 산(山)셜은 곳으로 가니 그남아도 사람 을 배반하면 이년에 몸은 무어시 되겟삼니가. 그래셔 날 잡어잡수 ― 하 고 이섯드립니다 그러기에 지금 생각(只今 生覺) 하면 그 왜 네가 목이라 도 매셔 못 죽엇나 십흐지요 자살(自殺)도 팔자닛가요…… 그러고 장주사난 셔울집 사노코 더릴너 오마하고 낫지요. 나는 어린애 대리고 거긔 몃칠 더 잇다가 하로난 불고 염치하고 우리 친졍을 차자 나갓지요. 마침 그 동래 사람 하나이 평강으로 간다고 해서 애을 업고 생젼(生前) 쳐음으로 오십리 (五十里) 거름을 하야 져녁 우리집문 압헤를 다々[다]르니 가삼이 두 군々々[두군]하고 벌々[벌] 녀서 참아 대문(大門) 안에 발이 드러 노읍데 가 그러나 이를 밀어 물고 쑥 드러갓지요. 우리집에서야 팔십리(八十里) 밧게 일을 아실 닭이 잇겟삼니가. 어머니난 버션발노 여나려 오시며 「이게 웬일이냐고」 하시고 오라버니 댁들도 여나려와서 아해를 밧어드 려가고 야단들입듸다. 우리 아바지서난 진지상에 고기반찬을 해서 노으면 반(半)만 잡수시고 오라범댁(宅)들을 불느서々[서] 「이거슨 홍집 누이 주어라 세상에 부々[부](夫婦)의 락(樂)을 몰느니 좀 불상하냐」하시고 밤 이면 잇지도 안으시고 홍(洪)집 자는 방이 춥지나 아느냐 하시며 무르시 지요. 그러케 호강스럽게 그 겨울 동안에 잘 먹고 잘 입고 지냇지요.
그 이듬해 삼월 초(三月 初) 엿새날 아참나절이엿지요. 건은방에서 아버지 마고자를 이고 잇스랴니 손아래 오라범이 얼골이 시퍼래져서 거는방 미 다지를 부서져라 하고 열어졔치드니 퉁명스럽게 내 압헤다가 무슨 뎐보(電 報) 한 장을 내여 던집듸다. 막눈이라 볼 줄을 아나요. 엽헤안졋든 그 오 라범댁더러 좀 보아 달나고 하엿지요. 한참 보더니 이상스러온 눈으로 나를 치어다 보면서 「아이고 형님 순영이 아버니난 도라가섯난대 이게 누구입니 가. 아버님 함자로 왓난대 오날 온다 하고 서랑 쟝필셤이라고」하엿삽니다 하지요. 그런 원수가 어대 잇스릿가. 그러자 별안간에 문밧게서 자동차 소 리가 나더니 키는 멀숙하니 삼팔 두루막이 자락이 너플거리며 금테 안경을 번어리고 셔슴지 안코 중문(中門)을 드러서 중청갓치 안마당으로 드러 오 더니 마루 헤가 걸터 안난구려. 우리 어머니난 고만 이불쓰시고 아래목에 드러누으시구요. 우리 옵바들은 동래 집으로 피신하고 나는 부억에 선 채로 오도가도 못하고 벌々[벌] 고 섯々[섯] 쓰랴니 오라범댁이 「형님에게 온 손님이니 형님 나가서々[서] 대접하시오」 하난 권에 못익일 외라 누 구나 드러오면 엇더케 해요. 그래서 억지로 나가서 드러가자 고하야 거는방 으로 더리고 드러갓지요. 아래목에 하나 움목에 하나 섯슬 이지 무슨 말 이 나오겟삽니가. 갈사록 山[산]이오 물이라더니 죽을 수니 헐 수 업삽듸 다. 왜 하필 고 우리 아버지난 사흘젼에 큰 댁 졔사에 가섯다가 도라오십 닛가 안방으로 드러가시더니 우리 어머니더러 왜 두러누엇냐고 하시겟지요.
어머니난 몸살이 낫다고 하십듸다. 다시 마루로 나오서々[서] 다니시다가 대에 버서노은 마른발 막신을 보시더니 오라범댁을 불느서々[서] 이게 왼 남자(男子)의 신이냐고 하시난구려. 오라범댁은 마지 못하야 엄을々々[엄 을]하면서 「평강형에게 손님이 왓서요」하지요 홍(洪)집에게 남자(男子) 손님이 웬 손님이며 남자(男子) 손님이면 의례 사랑으로 드러가야 할 거시 어늘 거는방에 드러안는 손님이 대톄 누구란 말이냐」하시더니 홍(洪)집 나 오라고 두어번 큰 소래로 불느시난구려. 나난 고만 겁결에 거는방 뒤문 밧 그로 여나갓지요 그래 가만히 섯々[섯]스랴니 별안간에 누가 내 뒤덜미 를 부서져라 하고 치며 머리채를 휘잡난구려. 작 놀나 도라다 보니 우리 아바지시지요 두말삼 아니 하시고 사뭇 아래 위로 치시 난대 압흔지 만지 하옵데다 아이구 어머니 살니라고 악을 쓰나 누가 내여다 보기나 하옵데가 지금(只今)도 장주사는 그 나 매맛는 것슬 생각하면 불상하다고는 하지 요 이왕 그러케 되엿쓰니 나를 압장을 세고 나서야 올치요 자긔난 훌젹 나 가서 자동차를 잡아 타고 갓구면요 그러니 하인 등솔에 남이 붓그러워 잇슬 수도 업거니와 우리 아바니서는 어머니와 오라범댁들에게 왜 그 놈을 붓 쳣너냐고 조련질을 하시고 나를 내치라고 하시지요. 할 수 업시 그 날 져 녁에 친졍에서지 겨나서 아해를 업고 졍쳐업시 나섯지요. 우리 어머니 二十里[이십리]지 차 나오시며 우시난구려. 길거리에서 그러케 모녀 가 마조막 작별을 하엿지요. 그러니 인졔야 장가에게 밧게야 갈곳 잇겟삽니 가. 그러나 서울이 어대가 박혓난지 서울은 엇더케 하여서 간다 하더라도 그 자의 집이 어대인진 알아야지요. 아모려나 비럴 먹어도 자식들하고나 갓 치 비럴먹을냐고 四十里[사십리]나 되난 쳘원(鐵原)으로 가서 길에서 놀고 잇난 우리 순영이를 훔쳐 가지고 다시 주막잡엇던 집으로 왓지요. 우리 집 에서 나올 에 아바지 몰래 어머니가 쌀판 돈 三圓[삼원]을 집어 주서々 [서] 그거스로 밥갑슬 치르고 잇섯스나 그짓 것 쓸냐니 얼마 되나요.
열흘도 못 가서 다 업서졋지요. 헐 수 잇나요. 그 붓허 그 집 바누질도 하고 아해를 거두어도 주고 하며 셰 식구 엇어 먹고 지냇지요. 여보 말삼 마시오. 졔법 어듸가 더운 밥 한 술을 엇어먹어 보아요. 뭇상에서 남난 밥 게기나 해가 한나졀이나 되여서 겨오 좀 엇어 먹어 보지요. 시골집이라니 요. 녀편네라도 허리를 못 펴고 다니지요 단간방에서 쥬인 식구(主人 食口) 다섯하고 여덟이 자면 평생(平生)에 어듸가 옷고롬 한 번을 풀어보고 다리 를 펴고 자보리가. 알이도 고생도 하엿지요. 그나마도 가라면 엇졈니가 (잇소)
(『新家庭[신가정]』 創刊號[창간호], 1921. 7)
[상기 저작물은 저작권의 소멸 등을 이유로 저작권 보호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다.]
'책읽기 >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만식 여인전기 [상] (0) | 2022.07.25 |
---|---|
김남천 나는 파리입니다 (1) | 2022.07.25 |
한용운 즉사 (0) | 2022.07.23 |
미운아기오리 미운오리새끼 안데르센 (0) | 2022.07.23 |
성냥팔이 소녀 (0) | 2022.07.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