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주식

"외환보유고 녹고 있다"…'킹달러'에 흔들리는 신흥국들, 韓은?

by 역달1 2022. 9. 14.
반응형

 인력거 기사들이 스리랑카 수도 콜롬보의 주유소 근처에서 연료를 사기 위해 줄을 서고 있다.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주요 신흥국의 외환보유고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는 경고가 나온다. 사상 최대의 물가상승률(물가상승률)과 달러 강세에 직면해 우려가 있다. 외환보유고가 소진되면 환율을 방어하기 위한 시장 개입이 줄어들 것이라는 점입니다.

 

 

12일(현지시간) 블룸버그 뉴스에 따르면 세계은행 스탠더드차타드 자료를 인용해 중국을 제외한 신흥국의 현재 외환보유고로 수입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기간은 2008년 이후 가장 낮은 약 7개월이다. 이는 2년 전인 2020년 8월의 16개월과 올해 초 10개월에 비해 크게 감소한 것으로 이머징 마켓의 통화 방어가 강화됐음을 시사한다.

국가별로는 인도네시아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 통화로 약 6개월간 수입 자금을 조달할 수 있을 정도로 가장 취약했다. 한국은 7개월, 필리핀과 인도는 각각 8개월, 9개월 생존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블룸버그가 집계한 데이터에 따르면 신흥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외환보유고 비율도 감소했다. 태국의 GDP 대비 외환보유고 비율은 지난해 말 48.6%에서 9월 43.1%로 가장 크게 떨어졌다. 말레이시아는 지난해 말 31.4%에서 최근 27.1%로, 인도는 지난해 말 20.6%에서 16.9%로 지난해 말 16.9%로 떨어졌다. 한국은 같은 기간 25.6%에서 24.7%로 상대적으로 약간 떨어졌다.

 

 

외환보유고 감소액은 인도가 810억 달러(111조 원)로 가장 많고, 태국이 320억 달러(44조 원), 한국이 270억 달러(37조 원), 인도네시아가 2위이다. 130억 달러(18조 원), 말레이시아는 90억 달러(12조 원). ) 등.

앞서 월스트리트 저널(WSJ)도 국제통화기금(IMF) 자료를 인용해 상반기 신흥국과 개발도상국의 외환보유고가 3790억 달러(521조 달러) 감소했다고 지적했다. 올해의. (1월부터 6월까지). JP모건은 중동산 원유 수출국과 중국을 제외한 주요 신흥국의 외환보유고 감소가 2008년 이후 가장 심각했다고 밝혔다.

신흥국 외환보유고 경보가 울린 것은 달러 가치가 2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각국은 환율을 방어하기 위해 외환보유고를 완화하고 정책금리를 인상하고 있지만 달러 강세 추세를 따르지 않고 있다. 이는 국채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이 쉽지 않은 악순환을 낳았다.

 

 

전문가들은 신흥국 중앙은행이 외환시장 개입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시장에 대한 중앙은행 개입의 둔화는 신흥 시장 통화의 추가 약세를 의미한다는 것이 지배적인 견해입니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BoA)의 이머징마켓 이코노미스트인 데이비드 하우 너(David Hauner)는 “식량과 에너지를 수입에 의존하는 국가의 경우 통화 약세가 매우 치명적이다. 그래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이미 디폴트 선언으로 IMF와 구제 방안을 협의 중인 스리랑카에 이어 다른 신흥국의 상황도 녹록지 않다는 해석도 나온다. 미즈호 은행 싱가포르 지점의 경제 전략 책임자인 비슈누 바라탄은 "현재 태국, 필리핀,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가 흔들리고 있다"라고 말했다..

반응형

댓글